티스토리 뷰

반응형

한화코리아밸류채권자(채권)

2019년 정책금리(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예상

내수경기둔화 및 수출둔화(반도체수출증가율 감소 등)로 시장금리 또한 상승둔화 및 제한적인 하락세 예상

동양/ 유진자산운용의 단기채가 인기였으나 ->올 해는 회사채(크레딧)펀드로 자금 흐름 이동 예상

2019년 한국채권시장은 다음의 내용으로 요약될 것 같습니다. 

채권투자의 Key point GDP 성장률, 물가상승률

한국 GDP 성장률은 현재 2.4~2.8% 수준으로 예상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예상치가 하향 조정 되고 있음

최근 한국은행의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시장예상치(1.6~1.8%)를 하회하는 1.4% 수준으로 

2019년 금리인상은 매우 힘들 것으로 보고 있음(일반적으로 물가상승률이 2% 이상 될 경우,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음)

 

수급불균형(수요>공급) 예상

한국정부는 현재 약 20조원 이상의 초과세수를 거두고 있고, 향후 부동산관련 세수 확대가 예상되는 바, 한국정부의 국채발행물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 ->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우량한 회사채 선호도 증가

한국 기업들의 설비투자 감소세는 오랜 기간 동안 지속이 되어왔고, 이러한 흐름은 2019년도 크게 변화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기업설비투자 감소 -> 유동성 증가 -> 회사채발행물량 감소

 

글로벌 중앙은행의 금리인상 행보의 둔화(미연준 금리인상 횟수 제한, 그 외 유럽 및 일본중앙은행의 통화긴축은 요원한 상황)

한국은 2019년 금리인상 이라던지 금리 상승세가 나타나기는 쉽지 않은 상황으로 예상됨 -> 국내채권에 우호적인 환경

 

 

이러한 시장 환경 하에서 저평가된 우량 회사채에 투자하여 안정적 수익을 추구하는 펀드가 바로 한화코리아밸류채권펀드

*상기 펀드는 국내 2위 생보사 한화생명 자금을 운용하는 업계 대표 채권형펀드 운용사 한화자산운용의 대표 채권형 펀드

(판매사 : 우리은행, SC은행, KEB하나은행, 국민은행, 한화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광주은행, 키움증권, 유안타증권, DB금융투자, NH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이베스트투자증권, 펀드온라인코리아, 한국투자증권, 대신증권, 하나금융투자, 유진투자증권, KB증권)

출처  :이데일리(주)본드웹

 

 

 

*제목의 연3%는 2019년 3월 현재 기준 예상치로서 필자가 책임지는 수익률이 절대 아님을 양해 바랍니다. 그래서 '추구'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