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받은글. 블랙스톤 8% 하락 : 부동산 펀드 환매 중단 블랙스톤이 자사 부동산펀드 환매 중단을 선언하면서 어제 8%나 빠졌습니다. 물류, 아파트, 카지노, 오피스 등 복합 부동산에 투자하는 펀드인데, 금리가 너무 많이 올라가다보니 건전성 우려가 커진거죠. 게다가 환매 요청의 70%가 아시아라고 하네요. 감당이 안되어 환매요청 들어온 것 43% 정도만 대응하고, 앞으로는 한달에 2%, 한 분기에는 최대 5%만 환매하겠다고 선언했네요. 최근 블랙스톤은 라스베가스 MGM 그랜드와 만달레이 베이 리조트를 매각한다고 발표했는데, 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https://m.mk.co.kr/news/world/10554604 얼어붙은 美부동산시장에 블랙스톤, 리츠 환매 제한 - 매일경제 금리인상·경기침체 우..
금리 인상으로 인해 수요는 다소 억제할 수 있지만, 공급망 문제는 연준이 금리 인상하는 것과는 관계가 없으며 이러한 공급은 연준이 어떻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다. 따라서 부동산 매매 시장에서 수요는 감소할 수 있지만, 공급은 여전히 현격히 부족한 상황이 지속되어 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임차인은 이미 높은 집값에 높은 금리로 인해 집을 장만하기가 쉽지 않고, 어디에선가는 살아야 하니 2022년 임대 시장에 많은 수요자로 더해줄 수밖에 없어 보인다. 임대주택 공급량은 부족하고 임차인들의 수요가 급증하니 임차인들의 가격 경쟁이 치열해 지고 이에 임대료는 급등하고 있다. 따라서 2022년 하반기에도 임대료와 주택 가격이 계속 상승하여 인플레이션이 더 높아질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연준은 이러한 인플레이션의..
https://youtu.be/qcEqfxe16P0
http://www.investchosun.com/m/article.html?contid=2022080180166 할인판매·리츠 장기보유까지…증권사 부동산 물량 세일즈 ‘총력’ 할인판매·리츠 장기보유까지…증권사 부동산 물량 세일즈 ‘총력’ www.investchosun.com 해외 및 부동산PF 등 증권사 미매각 물량 급증 급격한 금리 상승·공제회 자금줄 말라 셀다운 제동 리츠 통한 비자발적 장기보유 전략으로 선회하기도 일각선 할인 통한 셀다운 나서지만…시장선 ‘쉽지 않아’ 증권사들은 실물자산 투자 시 대개 2~3% 수준의 인수 수수료를 받고 투자를 진행하는데, 셀다운 진행 시 이미 받은 인수 수수료만큼은 할인해서 팔더라도 손실을 만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1000억원 규모의 총액인수를 했다고 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