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금리 인상으로 인해 수요는 다소 억제할 수 있지만, 공급망 문제는 연준이 금리 인상하는 것과는 관계가 없으며 이러한 공급은 연준이 어떻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다.
따라서 부동산 매매 시장에서 수요는 감소할 수 있지만, 공급은 여전히 현격히 부족한 상황이 지속되어 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임차인은 이미 높은 집값에 높은 금리로 인해 집을 장만하기가 쉽지 않고, 어디에선가는 살아야 하니 2022년 임대 시장에 많은 수요자로 더해줄 수밖에 없어 보인다. 임대주택 공급량은 부족하고 임차인들의 수요가 급증하니 임차인들의 가격 경쟁이 치열해 지고 이에 임대료는 급등하고 있다. 따라서 2022년 하반기에도 임대료와 주택 가격이 계속 상승하여 인플레이션이 더 높아질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연준은 이러한 인플레이션의 맞서기 위해 지속해서 금리 인상을 할 것으로 보인다. 금리가 높아질수록 화폐의 가치는 더 높아지지만, 화폐의 유동성은 떨어진다. 이에 연준이 2022년에 얼마나 빨리 금리를 인상할지 주목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높아지면 많은 주택 구매자들이 주택시장에서 나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좀 더 많은 구매자가 감소하는 것은 실제로 주택시장이 좋을 수 있다. 현지를 기준으로 현격한 주택 공급 부족 상태에서 주택 구매자가 적어지면 경쟁이 줄어들기 때문에 그동안 집을 구입하기 힘들었던 주택 구매자들에게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반면 높은 집값과 높은 금리로 인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은 집을 살 여유가 없게 될 수 있으며 이는 임대주택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켜 임대료를 높이고 인플레이션에 기여하게 될 수도 있어 보인다.
(중략)
https://news.koreadaily.com/2022/08/02/economy/economygeneral/20220802193809767.html
[부동산] 2022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 <1>
고금리·양적 긴축, 뉴노멀 시대로<br/>공급부족 지속, 임대료 더 오를 듯
news.koreadaily.com
'돈이 되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8월 국내주식시장 전망_삼성자산운용 (0) | 2022.08.07 |
---|---|
인플레이션 피크, 금리 정점은 언제? 일단 기름값 떨어져서 다행 (0) | 2022.08.07 |
대만지정학적리스크, 회색지대 전략 (0) | 2022.08.07 |
박제해놓고 또 봐야지, 바닥인지 아닌지_중국 부동산 (0) | 2022.08.07 |
한화투자증권 2022년 하반기 전망 업데이트 (0) | 2022.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