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112291792b

 

뉴 페이스 자산 운용 CEO, ETF 시장 대격돌 예고

뉴 페이스 자산 운용 CEO, ETF 시장 대격돌 예고, 김태림 기자, 비즈니스 포커스

magazine.hankyung.com

업계 1위인 삼성자산운용은 세대교체를 단행했다. 
새 사령탑에는 외국계 금융사에서 잔뼈가 굵은 서봉균 삼성증권 전 전무가 발탁됐다. 회사 측은 “삼성자산운용의 ETF 시장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글로벌 운용 인프라 확장을 견인할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서 신임 대표는 1967년생으로 금융 투자업계에서만 약 30여 년간 근무한 운용 전문가다. 1990년 한양대 도시공학과를 졸업한 후 모간스탠리·씨티그룹·골드만삭스 한국 대표를 거쳐 지난해 삼성증권에 합류해 세일즈앤드트레이딩(Sales&Trading) 부문장을 맡았다

‘ETF의 아버지’, ‘ETF의 산파’로 불리는 배재규 삼성자산운용 부사장은 21년 만에 삼성을 떠나 한국투자신탁운용 수장으로 이동한다. 1961년생인 배 내정자는 대구 출생으로 보성고와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1989년 한국종합금융에서 투자 경력을 시작해 SK증권을 거쳐 2000년 삼성자산운용으로 옮겨 코스닥 팀장, 주식운용 팀장, 인덱스운용본부 부장 등을 역임했다.
그는 2000년대 초반에 ETF를 한국에 도입하기 위해 직접 금융 당국을 찾아가 설득 작업에 나서기도 했고 2002년엔 한국 1호 ETF인 코덱스(KODEX)200 ETF를 선보이는 등 삼성자산운용을 ETF 시장의 최강자로 끌어올린 주역으로 평가 받는다. 배 내정자의 데뷔작인 코덱스200 ETF는 현재 한국 최대 주식형 ETF로 성장했다.
배 내정자는 김남구 한국투자금융지주 회장이 오랜 시간 고민 끝에 직접 발탁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이 외부 수혈로 사장급 인사를 영입한 것은 처음인데, ETF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한 파격적 인사로 풀이된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삼성·미래·KB에 이어 ETF 시장점유율 4위를 기록 중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가장 먼저 수장을 교체하고 조직을 재정비했다. 지난 11월 6년간 이어 온 김미섭·서유석 각자 대표 체제를 마무리하고 최창훈 부회장과 이병성 부사장을 새로운 투톱으로 맞았다. 최 부회장과 이 부사장은 각각 1969년생, 1967년생으로 두 사람 모두 50대다.
이와 함께 김남기 ETF운용부문장을 ETF 부문대표로 선임하며 ETF 부문에 더 힘을 줬다. 1977년생인 김 대표는 삼성자산운용에서 ETF 운용팀장으로 일하던 삼성 공채 출신이다. 2019년 김 대표를 ETF 운용본부장으로 영입한 미래에셋운용은 2년 만에 상무를 거쳐 전무로 초고속 승진시켰다.

신한자산운용도 ‘20년 운용사 CEO’ 경험을 가진 베테랑 조재민 전 KB자산운용 대표를 영입, 조 내정자는 1962년생으로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대에서 경영학 석사(MBA)를 취득했다. 씨티은행, 영국 스탠더드은행 등 외국계 금융사에 몸담으며 외환 딜러와 채권 매니저로 경력을 쌓았다. 1999년 마이다스에셋자산운용을 공동 창업해 사장으로 일하다 2009년 KB자산운용 사장에 영입됐다. 이후 KTB자산운용을 거쳐 KB자산운용에 재영입됐다가 2020년 퇴임

이현승 단독대표 체제로 전환한 KB자산운용은 이 대표의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성장세를 이어 가고 있다. 이 대표는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하며 ETF와 타깃 데이트 펀드(TDF) 등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는 한편 ETF 수수료를 업계 최저 수준으로 낮추고 테마형 ETF를 선보이며 시장 지배력을 넓혀 가고 있다. 그 결과 지난해 말 6%대에 불과했던 ETF 시장점유율을 올해 들어 8%대까지 끌어올리는 데 성공, ETF 시장 내 3위 자리를 굳히며 영향력을 키우고 있는 모습이다.

이 대표는 1966년생으로 서울고와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했고 서울대 행정학 석사와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행정학 석사를 취득했다. 행정고시 32회로 공직에 입문해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을 시작으로 예산실·장관실 등을 거쳤다. 그는 외환 위기 시절 2년 반 동안 장관 비서실에서 네 명의 장관을 보좌한 이력도 있다. 2001년 돌연 공직을 떠나 자본 시장 세계에 발을 디뎠는데 그는 자본 시장 CEO 경력만 벌써 13년인 베테랑이다.

한화자산운용은 지난 7월 5년 만에 한두희 대표를 새 사령탑으로 맞이했다. 
한 대표는 1965년생으로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 경영과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삼성그룹 재무팀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해 외환코메르쯔투신운용,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현 신한자산운용) 대안투자운용본부 본부장 등을 거쳤다. 한화그룹엔 2015년 입사했다. 한화투자증권 상품전략센터장, 상품전략실장, 트레이딩본부장, 한화생명보험 투자사업본부장 등을 지냈다. 운용업 경험도 파생 운용, 대체 투자, 상품 전략 등 다양하다.

(중략)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