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90244#home
[함께하는 금융] [기고] 고물가 시대의 퇴직연금 투자 ‘행태적 편의’ 현상 주의해야
일정 소득이 있는 근로 기간에는 부동산 비중이 높더라도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소득이 발생하지 않는 퇴직 후에는 노후자금의 흐름이 경색되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퇴직연금의 경우 자산
www.joongang.co.kr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형 상품에만 머물러 있으면 시간이 갈수록 내 연금의 실질가치가 하락
이런 때일수록 ‘행태적 편의’ 현상에 빠지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 행태적 편의는 너무 많은 선택에 노출될 때 선택 과부하에 걸려 자세히 따져보지 않고 그저 익숙한 것을 고르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퇴직연금의 경우 자산의 70%를 주식형·주식혼합형펀드부터 상장지수펀드(ETF), 리츠, 혼합자산펀드 등 다양한 투자상품에 투자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행태적 편의로 인해 여전히 익숙한 예적금으로 투자하는 경향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중략)
반응형
'연금저축, 퇴직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TDF 비용도 중요한데 성과 차이가 더 많이 나는 듯 (0) | 2022.07.31 |
---|---|
연금중도인출 (0) | 2022.07.31 |
2022년 상반기 퇴직연금 적립금 은행 +13%, 증권 +18%, 보험 +12% 증가 (0) | 2022.07.24 |
TDF와 TIF 차이 (0) | 2022.07.24 |
최근10년 퇴직연금 연평균수익률 미국 8.6%, 호주 7.7% (0) | 2022.07.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