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ttps://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81543
[더구루] 트럼프 2기 출범, 인도에 기회와 위기 상존
[더구루=정등용 기자]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 다가온 가운데 인도에 미칠 영향이 관심이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그동안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지만,
www.theguru.co.kr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그동안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광범위한 관세 조치가 인도를 겨냥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과 인도의 교역액은 지난해 기준 1287억 달러(약 189조5750억원)를 웃돌았다. 이는 전년 1194억 달러(약 175조8760억원) 대비 크게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인도의 대(對) 미국 수출액은 785억4000만 달러(약 115조6890억원)였던 반면, 미국의 대 인도 수출액은 502억4000만 달러(약 74조35억원)를 기록했다.
인도는 주로 엔지니어링 제품과 보석류, 전자제품, 의약품 등을 수출하며 미국으로부터 광물 연료, 석유, 진주, 전기 기계 및 부품 등을 수입한다. 지난 2000년 4월부터 2023년 9월까지의 미국의 대 인도 FDI(외국인직접투자)는 622억 달러(약 91조6200억원)를 상회했는데, 이는 주요 투자국 중 세 번째로 큰 규모다.
특히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에 편중된 해외 생산 거점을 분산하는 '차이나 플러스 원(China plus one)' 전략에 나서면서 전자 및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한 대 인도 투자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광범위한 관세 부과 대상에 인도도 포함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인도의 지속적인 대미 무역 흑자와 보호무역 성향을 고려할 때, 트럼프 취임 시 인도가 미국의 주요 관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는 것
(중략)
'인도(GDP 3조 9,370억 달러 (2024, 세계 5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인도 국채로 외국인 자금 유입 감소 전망 (0) | 2025.01.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