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는 끝났다 각자 도생의 시대, ESG기준을 무역협정에 적용한다는 의미는_제약/바이오 부문에서 매력적인 회사는?
ESG로 투자자금이 이동(글로벌 35.3조 달러, 국내 5.6조 원) -> 35.3조달러는 2020년 기준 미국 GDP 20.94조달러의 1.68배 수준 ESG관련 채권 대출도 높은 성장. 녹색채권으로 자금조달 비용도 감소 보호무역주의와 더불어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 ESG 기준을 무역협정에 적용 글로벌 100여개의 ESG 평가 기관과 600여개 이상의 평가 지표로 ESG 평가 결과 도출 산업통상자원부가 작년 12월에 발표한 K-ESG 가이드라인으로 해결(정보공시,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 4개 영역 내 27개 범주의 61개 기본 진단 항목으로 구성) 많은 제약/바이오 업체들이 ISO(국제표준화기구) 인증을 통해 ESG에 대응 중 E(환경) - 환경오염은 ISO 14001(환경경영)과 ISO 50001..
돈이 되는 이야기
2022. 6. 5. 22:06